티스토리 뷰
· 무역계약은 시장조사 - 거래권유와 문의 - 신용조회 - 청약 - 승낙의 순서로 성립됩니다. 무역계약의 시작 단계라고 할 수 있는 시장조사가 무엇인지, 어떻게 하는지 알아 보겠습니다.
1. 시장조사의 의미
시장조사는 무역거래를 진행하기 위해 무역거래를 진행하고자 하는 나라나 지역을 알아보는 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. 본인이 거래하고자 하는 물건의 소비기 필요한 나라인지, 그 지역의 수요는 어떠한지를 미리 알아보고 무역 거래 상대바을 찾기 위한 단계라고 생각하면 됩니다.
2. 시장조사의 방법
시장 조사의 방법은 온라인, 오프라인 두 가지가 있습니다. 온라인, 오프라인 방식 모두 장·단점이 있어 어떤 방식이 더 낫다고 명확하게 이야기 하기 어렵습니다. 각각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해서 무역계약 전 정확한 시장조사를 한다면 계약을 성사하고 진행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업무 손실은 막을 수 있습니다.
A. 온라인 방식
국가별, 항목별, 가격대별로 다양한 사이트를 검색할 수 있고 신속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. Kompass와 같은 전문 DB, Yellow Page와 같은 일반 DB를 활용, 현 21세기를 맞아 전문적 무역거래사이트발전(EC21, EC plaza)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. 현재는 소셜네트워킹의 발달로 비지니스를 위한 사이트 LINKED IN에서도 시장조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. 중국의 알리바바와 같이 무역비지니스를 위한 해외 사이트에서도 충분한 시장 조사가 가능합니다. 흥미있는 나라의 고객의 웹사이트를 통해 연락을 취할 수도 있습니다.
온라인 방식의 시장조사는 큰 비용과 많은 시간을 들이지 않고 정보를 탐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. 하지만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방식이다 시장 조사를 정확하게 하는 것에 약간의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.
B. 오프라인 방식
국내의 수출유관기관(KOTRA, KITA, KCCI)을 활용, 국내 외 전시회나 박람회 참관, 국내외 외국 대사관이나 상무관 방문 상담, 해당 국가나 해당 업체 직접 방문, 해외 에이전트나 지인을 활용하는 등의 방식을 말합니다. 해당 국가의 전시회에 참여할 수도 있고, 무역 상대방이 될 가능성이 있는 업체를 직접 방문해서 담당자와 이야기를 나눠볼 수도 있습니다.
오프라인의 시장조사 방식은 사람을 직접 만나기에 온라인 방식보다 정확하게 시장을 파악할 수 있으나, 방문을 위해서는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.